경제용어 | 'S'자형 투자이론이란?
페이지 정보
작성자 모아 작성일23-03-07 20:30 조회37회 댓글0건본문
'S'자형 투자이론이란?
'S'자형 이론은 사람의 성장곡선에서 유래되었습니다. 이론의 주된 내용은 모든 신기술과 제품은 시장점유율을 일일이 측정하지 않아도 서서히 틈새 시장을 파고들기 사작하고 일단 소비자와 가정 속에 약 10% 정도가 보급되고 나면 그 이후 급속히 퍼져나가는 큰 흐름을 이룬다는 내용으로 한 제품이 시장을 10% 점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이후 90% 점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같다는 것입니다.
자동차의 경우를 예로 들면, 자동차는 1886년에 처음 발명된 후 1900년께부터 대중화되기 시작했으며, 이 때부터 당시 자동차를 소유할 수 있었던 고소득 틈새시장을 파고들기 시작해 1914년에는 10%를 차지했습니다. 그 후 자동차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해 꼭 14년 만인 1928년께는 90%에 도달했습니다.
지난해 이후 유행했던 해리 S 덴트의 버블론에서 자산시장의 호황이 2010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는 것도 인구통계학적 관점에서 1990년대 후반부터 경제활동을 주도하고 있는 베이붐 세대의 소비가 지속될 것이라는 점과 현재 주력산업인 정보기술(IT)의 보급률이 이 때까지 90%에 달할 정도로 급신장될 것이라는 'S'자형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.
결국 'S'자형 이론은 어떤 기술과 제품이든 초기에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불확실한 상황에서 보급률이 10%에 달하면 확신을 갖고 중장기적인 안목에서 투자해 놓을 경우 높은 수익을 기대해 볼 수 있다는 점을 시사 하는 셈입니다.
포인트 선물 선물명단 선물하기
최소 5P ~ 최대 100000000P 까지 가능합니다.
로그인 후 선물하실 수 있습니다.
선물 받은 내용이 없습니다.
-
등록일 2023.03.15
-
등록일 2023.03.15
-
등록일 2023.03.15
-
등록일 2023.03.15